(정통부) 스마트팩토리 관제기술개발(feat. MES/C#/SCADA/산업용IoT)
교육기관 | 충남인력개발원 | 면접일 | |
---|---|---|---|
교육기간 | 2020.05.18~2020.10.30 5개월(900시간) | 합격자 발표일 | |
접수기간 | 현재는 모집기간이 아닙니다. | 입학일 | 2020.05.18 |
교육장소 | 대전분원 D-Station | 교육과정 문의처 | 041-850-9500 |
모집인원 | 21명 |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대표하는 이슈! 스마트팩토리 입니다.
우리나라는 2018년 부터 2022년까지 3만개가 넘는 공장을 스마트공장으로 바꾸려 하고있습니다.
이미, 10년 전부터 독일을 시작으로 최근 중국까지 대대적인 붐이 일어난 스마트팩토리는
인구감소에 따른 생산활동의 위축을 막기위한 궁극의 대책으로 평가되고 있습니다.
대략 4년 전부터 활발하게 스마트팩토리에 관한 교육과정들이 활성화되었지만,
지금도 현장의 수요에 비해 충분한 기술력을 가진 인력의 공급이 미흡합니다.
또, 대부분의 스마트팩토리 관련 교육이나 강좌가 2주 이내의 단기교육이라서
체계적이고 심도있는 기술습득이 어렵습니다.
대한상공회의소 충남인력개발원은 국내에서 가장 먼저 '한국형 스마트팩토리 기술모델'을 정립해서
매 기수별 6개월간 교육생 개인당 2천여만에 달하는 고급 훈련과정을 운영해 왔습니다.
더불어, 매년 현장전문가로 부터 기술의 동향을 살펴 교육내용을 업그레이드 시켜왔습니다.
프로젝트 팀으로 교육생 4명당 1명의 현장전문가를 매칭하여 멘토링을 실시합니다.
팀별 160시간으로 진행되는 종합프로젝트에서는 최신기술 트랜드를 짚어내는
멘토선생님들의 역량이 투입되어 교육생들의 취업에서 강력한 효과를 보입니다.
스마트팩토리를 구성하는 다양한 기술요소 중 비중이 가장 큰 원격감시제어(관제) 소프트웨어가 주된 학습테마입니다.
여기에 C#, Java script, DB를 기초역량으로 학습하고,
PLC/HMI, SCADA 소프트웨어, DAS(제조데이터 수집시스템) 등의 연계기술을 확실히 다져서
생산현장에 있는 모든 기기들을 하나로 통합하여 관리하는 흥미로운 기술을 배우게 됩니다.
산업용 IoT를 결합하여 로봇을 비롯한 다양한 기기에 대한 관제기술은 현장에서도 매우 비중있게 요구되는 기술입니다.
스마트공장 지능로봇관제기술 개발과정은 교육시간의 30% 이상이 프로젝트 훈련으로 구성되어 있고, 기업의 연구개발 부문에서 활동해 온 역량있는 전문 개발자들이 교수진으로 활동하고 있습니다.
특히, 이 과정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주관하는 혁신성장청년인재집중양성 사업으로 지정되어 교육내용, 교육운영, 취업성과 등이 체계적으로 관리되고 있습니다.
특히, 이 과정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주관하는 혁신성장청년인재집중양성 사업으로 지정되어 교육내용, 교육운영, 취업성과 등이 체계적으로 관리되고 있습니다.
기초모듈 | - 펌웨어 프로그래밍 - 객체지향 프로그래밍 - 로봇 아키텍처 - 네트워크 구축 - SCADA 기초 |
---|---|
심화모듈 | - 오픈플랫폼 활용 - 로봇 통신 인터페이스 - SCADA 응용 |
프로젝트 | 산업용 IoT 구현 로봇관제 소프트웨어 개발 현장실무 프로젝트 |
교육 내용 중 현장실무 프로젝트는 내용이 다소 변경될 수 있습니다.
- 스마트팩토리 MES 구축 SI 업체
- 로봇관제시스템 개발 업체
- 주요장비 및 실습
(정통부) 스마트팩토리 관제기술개발(feat. MES/C#/SCADA/산업용IoT)